책소개
청소년이 묻고 역사학자가 답하다!
미래를 위한 한국 근대사
2010년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한 한일강제병합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 책은 하나의 질문에서부터 시작한다. 왜 조선은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야 했을까. 이러한 역사적 질문을 청소년이 던지고 역사학자가 답하는 과정에서 100년 전 역사가 현재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핀다. 책에서 던지는 질문은 총 100가지이다.
‘일본 세력을 무력으로 몰아낼 수는 없었을까?’ ‘실력만 양성하면 정말 일본이 조선에서 물러났을까?’ ‘일본에 병합을 요청한 조선인은 누구인가?’ ‘국권을 빼앗긴 후 고종과 순종 황제는 어떻게 살았을까?’ ‘왜 경술국치일을 기억해야 할까?’ ‘독립군끼리도 총을 겨누고 싸웠다는 게 사실일까?’ ‘독립운동을 하다 체포되면 어떻게 되었을까?’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을 하지 않으면 모두 친일파였을까?’ ‘조선인 노동자의 월급 수준은 어떠했을까?’등이 100가지 질문의 일부이다.
편집자들은 100가지의 질문을 유기적으로 편집하여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1부와 2부에서는 1876년 개항 무렵부터 대한제국까지 근대개혁기를 다룬다. 3부에서는 강제병합에 이르는 1905년부터 1910년까지 긴박한 역사를 분석했다. 4부는 강제병합 이후 식민지 시기 일제의 지배정책과 경제 상황, 그리고 민중의 삶을 보여준다. 5부는 강제병합의 유산이 한일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기술한다
목차
책머리에: 진실의 역사로 만들어가는 미래 ― 이해학
추천사: 역사, 과거·현재·미래를 비추는 거울 ― 이이화
책읽기 길라잡이: ‘강제병합 100년’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묻다 ― 기획팀
1부 19세기 개항 전 조선과 동아시아
1. 19세기 조선 앞바다에 이양선이 자주 출몰한 까닭은 무엇일까?
2. 흥선대원군은 과연 ‘쇄국정책’을 폈을까?
3. 일본과 청은 어떻게 문호를 개방했을까?
4. 19세기 조선은 어떤 사회였을까?
2부 조선의 개항에서 대한제국의 탄생까지
5. 일본은 왜 조선에 개항을 강요했을까?
6. 강화도조약은 왜 불평등 조약인가?
7. 개항 이후 조선은 어떤 개화정책을 폈을까?
8. 위정척사파는 왜 조선 정부의 개혁정책에 반대했을까?
9. 임오군란 당시 군민들은 왜 일본공사관을 공격했을까?
임오군란 이후 흥선대원군은 어떻게 되었나?
10. 김옥균은 왜 ‘갑신정변’을 일으켰을까?
11. 일본이 조선의 개혁을 원했다고 하는데, 사실일까?
12. 개항기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조선인의 감정은 어떠했을까?
13. 동학농민전쟁, 청일전쟁, 갑오개혁…… 1894년에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14. 1894년 동학농민군이 꿈꾼 세상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동학농민전쟁’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
15. 유생들은 왜 일본군을 지원해 농민군을 토벌했을까?
16. ‘갑오개혁’의 주인공들이 돌에 맞아 죽은 까닭은?
17. 일본이 명성왕후를 무참히 살해한 까닭은 무엇일까?
민비, 명성왕후, 명성황후? 어떻게 부르는 것이 맞을까?
18. 을미의병은 정말 일본의 침략에 반대했을까?
19세기 조선의 의적, 활빈당
19. 고종은 왜 러시아공사관에서 1년 동안이나 머물렀을까?
20. 대한제국이 내세운 ‘구본신참’은 무슨 뜻을 지니고 있을까?
21. 독립협회는 왜 독립문을 세웠을까?
만민공동회 : 자주와 민권을 외친 최초의 근대적 민중집회
22. 경인선 부설 행사에 왜 일장기와 성조기가 나부꼈을까?
23. 대한제국은 왜 마지막까지 중립화를 주장했을까?
3부 1905~1910년, 역사의 현장을 가다
24. 러일전쟁, 을사조약, 1905년에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25. 을사조약은 왜 불법 조약인가?
을사조약, 을사보호조약, 을사늑약, 제2차 한일협약
26. 국제사회는 왜 일본의 불법 지배를 묵인했을까?
27. 을사5적은 누구인가?
28. 을사조약 체결 후 우리는 어떻게 저항했을까?
29. 일제의 고문정치란 무엇인가?
30. 한국통감부는 무슨 일을 했을까?
31. 일본은 왜 대한제국의 화폐를 정리했을까?
32. 고종의 퇴위와 순종의 즉위는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헤이그 밀사와 만국평화회의
33. 일본이 조선에 강요한 차관정치란 무엇인가?
을사조약, 정미7조약, 한국병합조약의 주요 내용
34. 동양척식주식회사는 무엇을 하는 곳이었을까?
35. 일본 세력을 무력으로 몰아낼 수는 없었을까?
36. 실력만 양성하면 정말 일본이 조선에서 물러났을까?
37. 국채보상운동은 국권회복운동이었나?
38. 지식인들이 자결을 선택한 까닭은 무엇일까?
39. 외국인들은 조선인의 항일운동을 어떻게 바라보았을까?
40. 신민회는 왜 조직의 존재를 숨기려 했을까?
105인 사건이란 무엇인가?
41. 안중근은 왜 이토를 쏘았을까?
42. 한국강제병합, 왜 1910년에 이루어졌나?
1909년 일본은 왜 간도협약을 체결했을까?
43. 일본에 병합을 요청한 조선인은 누구인가?
44. 국권을 빼앗긴 후 고종 황제와 순종 황제는 어떻게 살았을까?
45. 왜 ‘경술국치일’을 기억해야 할까?
한일합방, 강제병합, 합병, 강점, 식민지란 용어에 대해
4부 일제강점기, 지배와 저항, 그리고 일상
46. 조선총독부는 어떤 조직이었나?
조선 총독으로 부임한 이들은 누구인가?
47. 울던 아이도 그치게 했다는 헌병경찰은 어떤 존재였을까?
48. 일제는 왜 ‘조선태형령’을 제정했을까?
49. ‘위생경찰’이란 무엇인가?
50. 조선총독부는 왜 토지조사사업을 했을까?
51. 일제강점 덕분에 출세한 사람들은 누구일까?
52. 3·1운동은 왜 일어났을까?
53. 일제는 왜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지배정책을 바꾸었을까?
54.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무엇을 했나?
대한민국 임시헌장 선포문
55. 일제에 맞선 가장 효과적인 독립운동은 무엇이었을까?
단재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
56. 우리 독립군끼리도 총을 겨누고 싸웠다는 게 사실일까?
57. 일제강점기 사회주의운동이 활발했던 까닭은 무엇일까?
58. 독립운동을 하다 체포되면 어떻게 되었을까?
59.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을 하지 않은 사람은 모두 친일파였을까?
60.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민족지도자 중 일부가 친일파가 된 까닭은?
61. 11월 3일을 학생독립운동기념일이라 하는 까닭은?
62. 신간회는 어떤 단체쳀며, 무슨 활동을 했을까?
63. 윤봉길은 테러리스트인가?
누구를 ‘의사(義士)’로, 누구를 ‘열사(烈士)’로 부르는 것일까?
64. 1930년대 이후 항일무장투쟁은 어떻게 전개되었나?
65. 조선인 노동자의 월급 수준은 어떠했을까?
강주룡이 을밀대 지붕 위로 올라간 까닭은?
66. 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치고 배웠을까?
67. 식민지 조선에서도 일본어 몰입 교육이 있었을까?
68. 조선의 젊은이들이 일본으로 유학을 간 까닭은?
69. ‘간토대지진’ 때 일본인들은 왜 조선인을 죽였을까?
참혹한 학살의 기억, 난징대학살.
70.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을 도운 일본인은 없었을까?
71. 농촌을 떠나 도시로 온 사람들은 행복했을까?
72. 모던걸과 모던보이의 도시, 경성은 어떤 곳이었을까?
73. 일제강점기 우리의 의식주 생활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74.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에서도 일본 돈을 사용했을까?
75.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은 어떻게 살았을까?
76. 일제는 왜 민족말살정책을 실시했을까?
77. 황국신민화 교육이란 무엇인가?
78. 창씨개명을 피해갈 수는 없었을까?
79. 친일파 기업인은 어떤 사람들인가?
80. 일본 야스쿠니 신사에 한국인이 합사된 까닭은 무엇인가?
81. 식민사관이란 무엇인가?
5부 해방 이후 과거 청산, 그리고 현재와 미래
82. 우리나라는 어떻게 해방을 맞이했을까?
1945년 ‘8·15’는 광복일까 해방일까?
83. 해방 이후 우리는 어떤 나라를 꿈꾸었을까?
84. 해방 후 한반도는 왜 두 개로 나뉘었을까?
85. 한국인의 반일 감정, 그 뿌리는 어디에서 시작되었을까?
영국, 프랑스, 일본 식민 통치의 차이점과 공통점
86. 한국의 근대화는 일제의 식민 통치 덕분일까?
87. 아직도 식민지 잔재 청산을 이야기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88. 해방 후 친일파 청산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반민특위가 친일파를 체포할 때 이들의 반응은 어떠했을까?
89. 한국인 B·C급 전범은 어떤 사람들인가?
90.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말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단재 신채호 선생은 무국적자?
91. 《친일인명사전》은 왜 만들었을까?
문답으로 읽는 《친일인명사전》
92.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은 한일협정으로 끝났다는 것이 사실일까?
93.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수요 시위를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94. 일본에 강제징용된 조선인 노동자들의 밀린 임금은 어떻게 되었을까?
95. 해방 후에도 일본에 남은 조선인은 어떤 사람들일까?
재일조선인의 국적, 호칭, 그리고 민족교육
96. 해외로 떠났던 조선인들은 해방 후 어떻게 되었을까?
97. 합천을 한국의 히로시마라고 부르는 까닭은?
98. 일본의 평화헌법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99. 왜 일본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일까?
100 일본 역사교과서, 무엇이 문제인가?
집필진 소개
진실과미래, 국치100년사업공동추진위원회 소개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