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의 생각과 삶의 근원인 유교에 관한 이야기
이 책은 과거 우리의 생각과 삶을 지배했던 종교이며 세계관이라고 할 수 있는 유교에 대한 이야기이다. 추석과 설 명절이 되면 조상님께 차례를 올리고 세시풍속歲時風俗의 여러 놀이를 행하는 행사의 기원은 유교적 유풍遺風이다. 서구화된 현대에도 여전히 우리의 생활 속에 깊이 뿌리 내린 전통문화와 그 바탕인 유교적 사고방식에 대해 소개하였다.
필자는 먼저 유교사상의 세계관을 다각도로 제시하고, 동아시아 전통사회에서 유교가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유교가 어떤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1부에서는 유교를 인생관, 문화관, 학문관, 행복관, 수양관 등 다양한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서술하였으며, 2부에서는 먼저 한국의 인문학적 전통과 유학의 전개 양상을 소개하고, 동아시아에서의 전개 양상, 현대적 의미 등을 다루었다.
우리는 아직도 생활의 많은 영역에서 유교문화의 영향을 계승하며 살아가고 있지만, 그것을 이해하는 것은 단편적이다. 독자들은 이 책에서 다각도로 조망한 유교의 본질을 살펴봄으로써 어느 특정 시기, 특정 지역의 유교가 유교 전체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유교는 바로 어떠한 모습이다라고 국한하여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그 사유의 폭이 넓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유교의 가치에 대해 점차 공감대를 상실해가고 있는 오늘날, 한국의 전통과 동아시아의 전통문화, 그리고 그 근간인 유교에 관심 있는 독자들과 유교 고전古典을 배우러 다니는 많은 일반시민들이 일독一讀할 가치가 있는 책이다. 아울러 이 책을 통해 옛 것이라고 소홀하게 여겨졌던 우리 전통문화와 유교의 풍습도 제대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부록으로 ≪공자성적도≫를 통해 공자의 일생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문묘文廟에 배향配享된 인물을 소개하여 유교의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
저자소개
1947년 부산 출생이며 성균관대학교 유학과와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하였다. 재단법인 민족문화추진회를 거쳐 현재 계명대학교 인문대학 윤리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의 철학적 사유의 전통』,『동아시아 주자학 비교 연구』, 역서로 『논어』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박사학위 논문인 「주자학의 철학적 특성과 그 전개 양상에 관한 연구」와 「유교의 종교적 성격과 오늘날 종교적 수행에의 활용 방안」,「우계 성혼의 성리설과 조선 후기 절충파」,「주희의 형이상학과 그 현대적 의미」등이 있다.
목차
간행사
이 책에 대하여
일러두기
제1부 현대 교양을 위한 유교 이야기
제1장 유교의 인생관
1. 인생론과 우주론 / 19
2. 공자의 도덕적 인생관:인생과 휴머니즘 / 20
3. 맹자와 순자의 인생관:인간과 자연의 문제 / 26
4. 운명과 자유:유교의 낙관적 인생관 / 30
제2장 유교의 문화관
1. 공자의 문화의식 / 35
2. 유교의 문화와 예禮/ 37
3. 문화와 교양 / 43
4. 공자의 인문주의 정신 / 46
제3장 유교의 학문관
1. 공자의 학문 정신과 그 내용 / 50
2. 맹자의 내적 수양의 학문 / 57
3. 유교의 전통과 오늘날의 왜곡된 학문관 / 60
제4장 유교의 행복관
1. 유교의 ‘공동체 속의 행복감’ / 62
2. 도덕과 불행, 유교의 딜레마 / 64
3. 고차원의 정신적 행복 / 69
4. 행복은 초월과 일상의 사이에서 / 73
제5장 유교의 수양관
1. 공자의 학문과 휴머니즘 / 76
2. 맹자와 순자의 수양론 / 79
3. 송대 성리학의 수양론 / 82
4. 성리학 수양론의 종교성 / 88
제2부 동아시아의 전통문화와 미래 전망
제1장 한국의 유교사회와 인문학 전통
1. 문제제기 / 97
2. 단군신화 속의 휴머니즘 / 100
3. 신라 ? 고려 불교에서 보는 인문정신의 두 모습 / 104
4. 훈민정음:한국적 읽기와 쓰기의 시작 / 114
5. 조선조 주자학의 도덕주의:한국 인문학의 특성 / 119
6. 실학과 인문정신:한국 실학의 특성과 한계 / 126
7. 결 어 / 132
제2장 여말 주자학의 도입과 조선 초기의 주자학
1. 서 언 / 136
2. 여말 주자학의 도입과 전파 / 140
3. 불교와 유교의 갈등과 교섭 / 144
4. 조선 초기 정도전의 벽불론 / 159
5. 역성혁명易姓革命과 의리강상義理綱常/ 164
6. 조선 초기 성리학의 여러 모습 / 167
7. 조광조의 ‘지치주의至治主義’ / 184
8. 결 어 / 193
제3장 유교의 입장에서 ‘통일’ 문제를 보는 시각
1. 통일과 유교 윤리 문제 / 197
2. 통일문제와 윤리의식 / 200
3. 한반도 통일을 위한 우리의 준비 / 204
4. 현대 한국의 윤리적 상황 / 209
제4장 중국의 사회주의 건설과 유학의 장려
1. 서 언 / 216
2. 중국식 개혁개방과 시장경제 / 219
3. 중국식 사회주의 건설과 유학의 장려 / 228
4. 결 어-미래 전망 / 242
제5장 동아시아 한?중?일 삼국의 유교
1. 서 언 / 245
2. 중국 한漢나라에서 유학의 독점적 지위 / 246
3. 아편전쟁 이후의 중국 유학의 변화 / 251
4. 일본 막부幕府에서의 주자학 수용과 일본식 해석 / 255
5. 한국의 주자학 과잉 / 263
6. 동아시아 문화공동체와 정치외교적 갈등 / 267
附錄
논설의 출처 일람 / 272
도판목록 및 사진자료 출처 / 273
《공자성적도孔子聖蹟圖》로 보는 공자의 일생 / 277
문묘배향文廟配享인물 /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