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논리적 글쓰기를 위한 20가지 주제와 100종의 고전!
자기 소개서, 리포트, 논문, 논술고사 등의 논술을 쓰기 위한 밑바탕을 마련해주는 책이다. 글쓰기의 양식이 되고, 논점에 대한 생각을 길러주는 고전 100종을 20개의 주제로 나눠 소개하고 있다. 각 편은 해당 고전의 쟁점과 전체의 줄거리를 요약했다. 아울러 해당 고전에서 뽑은 ‘한 구절 경구’와 쟁점에 관한 ‘문답 하나’를 넣었고, 저자를 소개하여 이해를 심화시켰다. 특히 쟁점에 관한 질문에 참고할 길잡이를 넣어 어떠한 방향으로 논리를 펴는 것이 좋은지 충고해 준다. 해당 저자나 주제와 관련된 한 권의 책을 부록으로 소개해서, 총 200종의 고전과 만날 수 있다. 각 편은 5~10분 정도의 시간만 투자해도 1종의 고전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자투리 시간이 날 때 하루 한 편씩만 읽어도 100일이면 모두 읽을 수 있다.
목차
1부. 삶의 자세
1. 삶의 자세에 대한 뱃사공의 충고 : 권근 〈주옹설〉
2. 소유와 무소유의 가치 : 법정 〈무소유〉
3. 하늘로부터 잠시 빌린 인생 : 이곡 〈차마설〉
4. 극한 상황에서 발휘되는 인간의 휴머니즘 : 알베르 카뮈 《페스트》
5. 가치 있는 비행 : 리처드 바크 《갈매기의 꿈》
2부. 인간 소외
6. 우정은 상점에서 팔지 않는다 :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
7. 벌레가 되어 버린 인간 : 프란츠 카프카 《변신》
8. 고독한 현대인들의 대화 :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
9. 소유 양식에서 존재 양식으로 : 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
10. 대중문화의 대중 소외 : 데이비드 리스먼 《고독한 군중》
3부. 정보화 사회
11. 정보화 사회의 전망과 실현 : 앨빈 토플러 《제3의 물결》
12. 정보 통제의 어두운 전망 : 조지 오웰 《1984》
13. 정보화 사회의 그늘 : 데이비드 솅크 《데이터 스모그》
14. 속도 숭배의 이면 : 피에르 쌍소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
15. 느림의 가치 : 밀란 쿤데라 《느림》
16. 정보화 사회의 사회상 : 다니엘 벨 《정보화 사회의 사회적 구조》
4부. 과학 기술과 과학철학
17. 디스토피아의 미래상 : 올더스 헉슬리 《멋진 신세계》
18. 과학 발전은 패러다임의 전환 :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19. 삶의 부분과 전체로서의 과학 : 하이젠베르크 《부분과 전체》
20. 열린 사고로서의 과학 : 칼 포퍼 《열린사회와 그 적들》
21. 진화하는 과학철학 : 앨런 차머스 《현대의 과학철학》
5부. 환경
22. 중간기술의 지혜 : 에른스트 슈마허 《작은 것이 아름답다》
23. 물리학의 사회학적 변용 : 제레미 리프킨 《엔트로피》
24. 지구 자체가 하나의 거대한 생명체 : 제임스 러브록 《가이아》
25. 자연은 침묵으로 경고한다 :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26. 생태론적 삶을 위한 단상 : 김종철 《간디의 물레》
6부. 생명 윤리
27. 의사는 죽음의 약을 주지 않는다 : 히포크라테스 《의학 이야기》
28. 생명의 범위 : 이은희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
29. 자살은 개인의 문제인가? : 에밀 뒤르켐 《자살론》
30.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대화 : 도정일, 최재천 《대담》
7부. 개인과 사회
31. 인간과 사회의 관계 :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32. 닫힌사회의 전형 : 조지 오웰 《동물농장》
33. 사회는 만인의 투쟁의 장 : 토머스 홉스 《리바이어던》
34. 사회적 개인의 곤경 : 라인홀드 니버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35. 근대 자유 정치의 이론서 : 존 로크 《통치론》
8부. 갈등과 합리적 의사 결정
36. 조직의 권력과 개인 :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37. 소시민의 갈등과 해소 방식 : 양귀자 《원미동 사람들》
38. 교실 사회로 본 권력의 흥망사 : 이문열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39. 정부에 저항해야 할 권리 : 헨리 데이비드 소로 《시민의 불복종》
40. 최소 수혜자에게 우선 혜택을 : 존 롤스 《사회정의론》
9부. 법과 도덕
41. 삼권 분립의 사상적 기초 : 몽테스키외 《법의 정신》
42. 직무와 인륜 사이 : 여불위 《여씨춘추》
43. 법과 양심의 사이에서 : 빅토르 위고 《레 미제라블》
44. 법적 진실과 법관의 양심 : 박원순 《내 목은 매우 짧으니 조심해서 자르게》
45. 법은 정의로운 잣대인가? : 김성한 〈바비도〉
10부. 여성
46. 남녀의 역할은 정해진 것인가? : 마가렛 미드 《세 부족 사회에서의 성과 기질》
47. 여성은 제2의 성이다 :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
48. 여성의 여성 인식 : 버지니아 울프 《자기만의 방》
49. 노동자의 성찰적 여성 인식 : 박노해 《노동의 새벽》
50. 유럽을 울린 여성주의 : 헨리크 입센 《인형의 집》
11부. 학문과 진리 탐구
51. 경험적 지식만이 진리다 : 프랜시스 베이컨 《신기관》
52. 의심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 르네 데카르트 《방법서설》
53. 사실에서 진리를 찾는다 : 김정희 〈실사구시설〉
54. 학문의 목적은 덕성 완성 : 순황 《순자》
55. 진리 인식의 방법 :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56. 인문학 위기의 대안 : 아르놀트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2부. 교육
57. 창의적 교육 이론의 철학적 기초 : 장 자크 루소 《에밀》
58. 동양 영재 교육의 기원 : 맹자 《맹자》
59. 만남을 통한 전인격의 대화 : 마르틴 부버 《나와 너》
60. 대안 교육의 실험 : A. S. 닐 《서머힐》
61. 억압받는 자를 위한 교육 : 파울로 프레이리 《페다고지》
13부. 인간과 경제
62. ‘보이지 않는 손’의 경제 : 애덤 스미스 《국부론》
63. 기독교와 자본주의 :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64. 세계화의 그림자 : 마르틴, 슈만 《세계화의 덫》
65. 세계화는 지구적 약탈이다 : 앤서니 기든스 《질주하는 세계》
66. 자본주의적 삶을 넘어 : 니어링 부부 《조화로운 삶》
14부. 문화
67. 식인도 풍습 : 레비스트로스 《슬픈 열대》
68. 동양을 바라보는 서구인의 시선 : 에드워드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69. 문화의 힘에 대한 관점 : 조지프 나이 《소프트 파워》
70. 전 국토가 박물관인 나라 :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1.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 :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15부. 역사
72. 역사를 보는 눈 : 자와할랄 네루 《세계사 편력》
73. 문명론적 역사주의의 걸작 : 아놀드 토인비 《역사의 연구》
74. 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 정약용 〈고구려론〉
75. 역사는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 : 신채호 《조선상고사》
76. 근대 합리적 역사주의의 고전 : 에드워드 카 《역사란 무엇인가》
16부. 근대 이성 비판
77. 근대의 주체와 객체의 구분 : 르네 데카르트 《성찰》
78. 도구적 이성에 대한 비판 :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일차원적 인간》
79. 대중 사회에서의 비판적 이성 : 아도르노, 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80. 패스트푸드의 합리성과 비합리성 : 조지 리처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
81. 새로운 근대성에 대한 경고 : 박이문 〈생태학적 합리성과 아시아 철학〉
17부. 예술
82. 예술의 목적은 무엇인가? : 톨스토이 《예술이란 무엇인가》
83. 예술의 효용은 무엇인가? : 정약용 〈악론〉
84. 예술혼과 현실 사이 : 황순원 〈독짓는 늙은이〉
85. 탐미적 예술가의 초상 : 김동인 〈광화사〉
86. 미술 감상의 지평 : 최순우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18부. 소수자와 인권
87. 소수자 문제의 시각 : 박재동 외 《사이시옷》
88. 다름에 대한 편견 : 타하르 벤 젤룬 《인종차별, 야만의 색깔들》
89. 장애인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오토다케 히로타다 《오체 불만족》
90. 아름다운 영혼과 신체 : 장영희 《내 생애 단 한 번》
19부. 국제 관계
91. 냉전의 흔적 : 새뮤얼 헌팅턴 《문명의 충돌》
92. 문명의 공존 가능성 : 하랄트 뮐러 《문명의 공존》
93. 문명의 공존을 위한 제언 : 세예드 모함마드 하타미 《문명의 대화》
94. 미국적 패권 전략의 전망 : 이매뉴얼 월러스틴 《미국 패권의 몰락》
95. 철학자가 구상한 세계 평화의 이론 : 임마누엘 칸트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20부. 언어와 언론
96. 언어와 정신의 관계 : 허웅 〈말과 생각〉
97. 언어와 민족에 대한 명편 : 알퐁스 도데 〈마지막 수업〉
98. 말은 이루어 내는 힘을 가진 존재 : 김석득 〈국어 순화에 대한 반성과 문제점〉
99. 문장에 대한 밝은 생각 : 이태준 《문장강화》
100. 현대 언론과 미디어의 속성 :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의 이해》